4년제 학점은행제 남서울 정미션 콘서바토리에서 알려드리는 피아노에 대한 재미있는 상식입니다.
피아노의 원래 이름은 '아르피침발로 케 파 일 피아노 에 일 포르테'. 직역해서 "강약을 구사할 수 있는 건반악기"라는 뜻으로 이를 줄여 '피아노포르테'라고 불렀고, 결국 '피아노'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클래식은 물론 재즈의 필수 악기, 독주는 물론 반주 악기로 쓰이는 팔방미인, '악기의 왕'으로 불리는 피아노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700년경부터 입니다.
그리고 현과 반향 판을 수직으로 세워 크기가 작고 비용 면에서 좀더 경제적인 업라이트 피아노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00년대부터 시작됩니다.
요즘에야 피아노가 음악에 관심 있는 중산층 가정의 필수 악기로 자리 잡았지만, 업라이트 피아노가 처음 나올 때만 해도 일반 가정에서는 엄두도 못 낼 만큼 비싼 사치품이었고, 당시 영국 학교 교사의 1년 치 월급을 몽땅 털어야 살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는 1720년 산
이탈리아 피렌체 메디치 궁정에 건반악기 쳄발로를 만들어 납품하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1655~1731)가 1700년에 만든 피아노가 사상 최초의 피아노입니다.
그가 만든 피아노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3대.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1720년산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돼 는데, 건반 54개(4옥타브 반)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또 1722년산 피아노가 로마 악기 박물관, 1726년산이 라이프치히 악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800여 개의 부품이 사용되는 정밀 기계
피아노의 무게는 업라이트의 경우 200㎏. 그랜드는 250㎏, 연주회용 그랜드 피아노는 500㎏까지 나갑니다.
피아노는 800여 개의 예민한 부품이 사용되며 제조 과정은 상당 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노동집약적 산업이고, 유럽과 미국에서 시작된 피아노 제조업은 일본과 한국을 거쳐 중국이 세계 최대의 피아노 제조국·수출국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월부제도 덕에 수요 폭발
한국에서 피아노가 처음 제조된 것은 1958년이고, 당시만 해도 외국 부품을 들여와 조립하는 단계였습니다.
삼익 피아노가 1969년부터 조흥은행과 판매 대금 적금식 불입제 (월부제)를 시행함으로써 국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고,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피아노는 특별 소비세를 물어야 하는 사치품에 속했습니다.
재봉틀 가게에서 팔던 시절
18세기 말 직립형 피아노는 재봉틀·탁자·책상·캐비닛·침대 겸용으로 나오기도 했습니다. 건반을 책상 서랍처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피아노, 사각형 피아노의 바닥 부분에 매트리스와 수납장을 보탠 침대 겸용 피아노도 선보였습니다.
남북전쟁 이후 미국에서는 수십 년간 재봉틀과 건반악기가 같은 부류의 품목으로 취급되곤 했는데, 둘 다 같은 상점에서 판매됐으며, 판매상들은 마차에 피아노와 재봉틀을 함께 싣고 다니면서 가정을 방문하며 판매를 하였습니다
스타인웨이 "할인? 우린 그런 거 없습니다"
피아노의 대명사 스타인웨이의 창업자는 스타인베크. 독일 태생의 캐비닛 제조업자였습니다.이름을 영어식으로 바꾼 뒤 1853년 3월 뉴욕에 피아노 공장을 차린 후,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피아노 관련 특허 128종을 따냈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 번도 할인 행사를 하지 않는 대신 대신 뉴욕 타임스 등에 대형 광고를 꾸준히 게재해 고급 이미지를 만들어 온 스타인웨이는 유명 공연장, 음악학교의 필수 악기처럼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최고가는 2억 4000만 원짜리
이탈리아 페사로 로시니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파올로 파치올리는 1980년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사무용 가구공장을 그만두고 피아노 제조 회사를 차렸는데, 파치올리가 만든 길이 308㎝, 무게 690㎏짜리 그랜드 피아노 '파치올리 F308'의 값은 17만1000달러(약 2억 4000만 원)나 나가는 최고의 고가입니다.
한편 사상 최대 규모의 피아노는 1935년 영국 국왕 조지 5세의 은혼식을 맞아 영국 피아노 제조업자 찰스 체일린이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만든 길이 355㎝, 무게 1.25t짜리 그랜드 피아노입니다.
연주회장에서 볼 수 있는 스타인웨이 콘서트 그랜드의 길이는 274㎝ 라고 합니다.
중고는 밋밋한 디자인이 더 비싸
중고 피아노를 구입하려면 1986~1995년에 제작된 피아노가 좋은데, 이유는 이때가 한국 피아노 산업의 전성기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피아노의 색깔이나 디자인은 구입하는 취향에 맞게 고르면 되는데, 하지만 중고 시장에서는 디자인이나 색깔보다는 검정 같은 보수적인 색깔과 화려한 장식이 없는 디자인이 더 인기입니다.
피아노의 외부 마감이 깔끔하면 그만큼 정성을 들여 만든 것이고, 특히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디지털 피아노는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어쿠스틱 피아노를 흉내 낼 수 없다는 게 중론이고, 전문가들은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자 피아노를 별개의 악기로 생각합니다.
피아노의 수명은 어떻게 취급하느냐에 달려 있고, 피아노는 습기에 취약합니다. 적정 습도는 42% 정도로, 35% 이하로 내려가거나 65% 이상으로 올라가면 좋지 않습니다.
서재가 있는 방에 피아노를 두어 습기를 조절하면 좋고, 온도는 20℃가 적당합니다.
그리고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며, 건반에 얼룩이 묻었을 때는 하나씩 올려서 부드러운 헝겊으로 물기만 약간 적셔 닦습니다.
방문접수:남예종1F접수처 인터넷접수:
http://jmusic.kr T.02-815-7558
e-mail : jungmission@hanmail.net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남서울정미션콘서바토리 2014학년 1학기 수강신청 안내
'클래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각 나라의 오페라극장 알아보기 - 클래식 학점은행 정미션 콘서바토리 (0) | 2014.08.08 |
---|---|
오케스트라의 악기배치는 어떻게 하나요? - 남서울 정미션 콘서바토리 (0) | 2014.02.12 |
코리아나챔버뮤직 소사이어티 제55회 정기연주회 (0) | 2013.11.08 |
남서울콘서바토리 클래식 골라 듣기 [1] (0) | 2013.11.07 |
율리아 피셔 & 드레스덴 필 하모닉 - 클레식학점은행 남서울정미션콘서바토리 (0) | 2013.10.31 |